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exon 카트라이더 팀스피릿

덤프버전 : (♥ 0)

||


파일:KartLeague Logo W.svg 역대 카트라이더 리그 일람
Nexon 카트라이더 13차 리그Nexon 카트라이더 팀스피릿Nexon 카트라이더 14차 리그
Nexon 카트라이더 팀스피릿 팀전 우승팀
팀전 리그 창설Fantastic4O3attack (16차 리그)

1. 개요
2. 진행방식 및 특이사항
3. 본선 일정
4. 카트바디 탑승 규정
5. 트랙
6. 출전 선수
6.1. A조
6.2. B조
7. 경기 진행
7.1. 사전 예상
7.2. 8강 조별 풀리그
7.2.1. A조
7.2.1.1. 6월 23일 A조 1경기 First 2 : 0 다크호스
7.2.1.2. 6월 23일 A조 2경기 택환부스터 2 : 0 4G+
7.2.1.3. 7월 7일 A조 3경기 First 2 : 1 택환부스터
7.2.1.4. 7월 7일 A조 4경기 다크호스 2 : 0 4G+
7.2.1.5. 7월 21일 A조 5경기 다크호스 0 : 2 택환부스터
7.2.1.6. 7월 21일 A조 6경기 First 2 : 0 4G+
7.2.2. B조
7.2.2.1. 6월 30일 B조 1경기 Fantastic4 2 : 1 Zowie
7.2.2.2. 6월 30일 B조 2경기 떠오르는 샛별 2 : 0 Ares Spirit
7.2.2.3. 7월 14일 B조 3경기 Fantastic4 2 : 0 떠오르는 샛별
7.2.2.4. 7월 14일 B조 4경기 Zowie 2 : 0 Ares Spirit
7.2.2.5. 7월 28일 B조 5경기 Zowie 2 : 0 떠오르는 샛별
7.2.2.6. 7월 28일 B조 6경기 FANTASTIC4 2 : 0 Ares Spirit
7.3. 4강 토너먼트
7.3.1. 8월 4일 4강 1경기 First 2 : 0 Zowie
7.3.2. 8월 4일 4강 2경기 Fantastic4 2 : 0 택환부스터
7.4. 8월 11일 결승전 Fantastic4 3 : 0 First
8. 결과
9. 논란 및 사건 사고



1. 개요[편집]


넥슨이 주최한 정규리그와 별개로 진행되는 이벤트 리그였지만 6년 후에 이벤트리그였던 듀얼레이스 1 개인전과 함께 듀얼레이스 2 개막전 선수 소개 화면 커리어 칸에 추가되었다.[1]


2. 진행방식 및 특이사항[편집]


  • 리그기간 : 2011년 6월 23일 ~ 2011년 8월 11일
  • 넥슨의 다섯 번째 자체 후원
  • 카트라이더 리그 최초의 공인 팀전 리그 [2]
  • 팀 구성은 역지명 방식. 지난 13차 리그에서 시드를 확보한 8명의 선수들이 예선을 거친 선수들을 지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넥슨코리아와 온게임넷은 예선을 통과한 24명의 선수들을 1위부터 8위, 9위부터 16위, 17위부터 24위까지 그룹으로 나누고 시드자 8명이 그룹에서 한명씩 선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팀지명식을 치렀다.
  • 팀 배분을 위한 예선전에서 승부조작이 발생한 리그.
    • 팀지명 방식을 알고 있던 선수들이 선호하는 선수들과 팀을 이루기 위해 예선전에서 의도적으로 낮은 순위를 차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덕분에 유영혁-강석인-박인재 등이 판타스틱4로 뭉쳤고 전대웅-강진우-조성제 등이 퍼스트로 뭉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지명에서부터 실력차가 벌어지면서 리그 시작전부터 결승전은 어차피 판타스틱4와 퍼스트가 치르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왔다. 예상대로 결승은 두팀이 치렀다. 팀간의 실력차이가 크다보니 승부가 뻔한 경기가 속출했다. 판타스틱4와 퍼스트 이외에 연습하는 팀들이 없었다고. 기사
  • 이중대, 이중선의 불참과 강진우와 강석인의 복귀
  • 경기방식은 8강 조별 풀리그와 4강 토너먼트는 3라운드 중 2라운드 선승제, 결승전은 5라운드 중 3라운드 선승제
  • 각 라운드 시작 이전에 아래의 게임방식을 선택해서 진행한다.
    • 토탈 포인트: 팀원들의 포인트(스피드 개인전 포인트[3])를 합산해 50점을 먼저 선취하는 팀이 승리
    • 타겟 체이스: 팀 에이스가 상대팀 에이스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하면 승리(스피드전 3전 2선승)[4]
    • 데스 매치: 최하위를 기록하는 선수가 속하는 팀이 패배(스피드전 3전 2선승)[5]
    • 팀포인트: 경기 결과의 팀 포인트에 따라 승/패를 결정하는 방식(스피드 팀전 3전 2선승)
    • 콤보매치: 개인전 점수를 반영하며 같은 팀 선수가 연달아 들어오면 추가 점수[6]를 부여하는 방식(스피드 팀전 3전 2선승)


3. 본선 일정[편집]


  • 1주차(6월 23일): 조 추첨식, GROUP A 1경기, 2경기
  • 2주차(6월 30일): GROUP B 1경기, 2경기
  • 3주차(7월 7일): GROUP A 3경기, 4경기
  • 4주차(7월 14일): GROUP B 3경기, 4경기
  • 5주차(7월 21일): GROUP A 5경기, 6경기
  • 6주차(7월 28일): GROUP B 5경기, 6경기
  • 7주차(8월 4일): 4강 크로스 토너먼트 1경기, 2경기
  • 8주차(8월 11일) 결승전


4. 카트바디 탑승 규정[편집]


  • 카트바디 제한 방식은 오프라인 예선 및 리그 본선에만 적용하며 온라인 예선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리그 오프라인 예선에서는 강화, 플랜트 카트바디 사용이 불가능하다. (EX. 골든 스톰 블레이드 등)
    • 동일 카트바디 연속 탑승을 금지한다.


5. 트랙[편집]



  • 트랙의 순서는 임의로 지정된다.



6. 출전 선수[편집]



6.1. A조[편집]


First
전대웅조성제강진우박정렬
다크호스
노진철박종근원훈희신하늘
택환부스터
김택환김은일김현태이요한
4G+
최영욱전재성지효성김경훈


6.2. B조[편집]


FANTASTIC4
박인재강석인유영혁박준혁
Zowie
박도형문호준최영훈원상원
떠오르는 샛별
김민우문명주이지우설희창
Ares Spirit
안기준김동환박원욱서국환


7. 경기 진행[편집]



7.1. 사전 예상[편집]




7.2. 8강 조별 풀리그[편집]



7.2.1. A조[편집]


순위득실
1First30+5
2택환부스터21+3
3다크호스12-2
44G+03-6


7.2.1.1. 6월 23일 A조 1경기 First 2 : 0 다크호스 [편집]

First다크호스
선수선수
전대웅조성제강진우박정렬노진철박종근원훈희신하늘

경기 진행
Round 1 : 토탈포인트
59트랙14
합산점수점수합산
1919[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88
3920광산 위험한 제련소311
5920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314
Round 2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아이스 부서진 빙산R
2광산 위험한 제련소3


7.2.1.2. 6월 23일 A조 2경기 택환부스터 2 : 0 4G+ [편집]

택환부스터4G+
선수선수
김택환김은일김현태이요한최영욱전재성지효성김경훈

경기 진행
Round 1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2
1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R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지효성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전재성


7.2.1.3. 7월 7일 A조 3경기 First 2 : 1 택환부스터 [편집]

First택환부스터
선수선수
전대웅조성제강진우박정렬김택환김은일김현태이요한

경기 진행
Round 1 : 토탈포인트
65트랙39
합산점수점수합산
99아이스 부서진 빙산1414
3223[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418
4412광산 위험한 제련소1533
6521차이나 골목길 대질주639
Round 2 : 데스매치
0트랙2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강진우아이스 부서진 빙산
강진우[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Round 3 : 팀포인트
2트랙0
점수결과결과점수
28[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2
28차이나 골목길 대질주12


7.2.1.4. 7월 7일 A조 4경기 다크호스 2 : 0 4G+ [편집]

다크호스4G+
선수선수
노진철박종근원훈희신하늘최영욱전재성지효성김경훈

경기 진행
Round 1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1광산 위험한 제련소2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최영욱
Round 2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5
1광산 위험한 제련소R


7.2.1.5. 7월 21일 A조 5경기 다크호스 0 : 2 택환부스터 [편집]

다크호스택환부스터
선수선수
노진철박종근원훈희신하늘김택환김은일김현태이요한

경기 진행
Round 1 : 타겟체이스
1트랙2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2
6대저택 은밀한 지하실4
5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1
Round 2 : 토탈포인트
44트랙60
합산점수점수합산
1010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1717
2919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825
4112대저택 은밀한 지하실1540
443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2060


7.2.1.6. 7월 21일 A조 6경기 First 2 : 0 4G+ [편집]

First4G+
선수선수
전대웅조성제강진우박정렬최영욱전재성지효성김경훈

경기 진행
Round 1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아이스 부서진 빙산지효성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지효성
Round 2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광산 위험한 제련소R
4[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8


7.2.2. B조[편집]


순위득실
1Fantastic430+5
2Zowie21+3
3떠오르는 샛별12-2
4Ares Spirit03-6


7.2.2.1. 6월 30일 B조 1경기 Fantastic4 2 : 1 Zowie[편집]

Fantastic4Zowie
선수선수
박인재강석인유영혁박준혁박도형문호준최영훈원상원

경기 진행
Round 1 : 토탈포인트
30트랙51
합산점수점수합산
1010아이스 부서진 빙산1717
199광산 위험한 제련소1835
3011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1651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원상원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문호준
Round 3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2
1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3



7.2.2.2. 6월 30일 B조 2경기 떠오르는 샛별 2 : 0 Ares Spirit[편집]

떠오르는 샛별Ares Spirit
선수선수
김민우문명주이지우설희창안기준김동환박원욱서국환

경기 진행
Round 1 : 콤보매치
2트랙0
점수결과결과점수
25+24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2+2
20+10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7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1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안기준
이지우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아이스 부서진 빙산박원욱


7.2.2.3. 7월 14일 B조 3경기 Fantastic4 2 : 0 떠오르는 샛별[편집]

Fantastic4떠오르는 샛별
선수선수
박인재강석인유영혁박준혁김민우문명주이지우설희창

경기 진행
Round 1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아이스 부서진 빙산이지우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설희창
Round 2 : 토탈포인트
65트랙16
합산점수점수합산
2525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22
4823차이나 골목길 대질주46
6517[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016


7.2.2.4. 7월 14일 B조 4경기 Zowie 2 : 0 Ares Spirit[편집]

ZowieAres Spirit
선수선수
박도형문호준최영훈원상원안기준김동환박원욱서국환

경기 진행
Round 1 : 콤보매치
2트랙1
점수결과결과점수
17광산 위험한 제련소10
10차이나 골목길 대질주17
19+10아이스 부서진 빙산8+6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1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박원욱
원상원빌리지 만리장성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안기준


7.2.2.5. 7월 28일 B조 5경기 Zowie 2 : 0 떠오르는 샛별[편집]

ZowieAres Spirit
선수선수
박도형문호준최영훈원상원김민우문명주이지우설희창

경기 진행
Round 1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3대저택 은밀한 지하실7
1광산 위험한 제련소3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광산 위험한 제련소이지우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이지우


7.2.2.6. 7월 28일 B조 6경기 FANTASTIC4 2 : 0 Ares Spirit[편집]

FANTASTIC4Ares Spirit
선수선수
박인재강석인유영혁박준혁안기준김동환박원욱서국환

경기 진행
Round 1 : 토탈포인트
73트랙8
합산점수점수합산
2323[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44
4825차이나 골목길 대질주26
7325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28
Round 2 : 데스매치
2트랙0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안기준
아이스 부서진 빙산안기준


7.3. 4강 토너먼트[편집]



7.3.1. 8월 4일 4강 1경기 First 2 : 0 Zowie[편집]


FirstZowie
선수선수
전대웅조성제강진우박정렬박도형문호준최영훈원상원

경기 진행
Round 1 : 토탈포인트
59트랙22
합산점수점수합산
1818아이스 부서진 빙산99
4325차이나 골목길 대질주211
5916[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122
Round 1 : 타겟체이스
2트랙1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빌리지 만리장성5
2대저택 은밀한 지하실7
전대웅광산 위험한 제련소

2라운드 마지막 트랙인 광산 위험한 제련소에서 6명이나 리타이어가 발생했다.


7.3.2. 8월 4일 4강 2경기 Fantastic4 2 : 0 택환부스터[편집]


Fantastic4택환부스터
선수선수
박인재강석인유영혁박준혁김택환김은일김현태이요한

경기 진행
Round 1 : 팀포인트
2트랙2
점수결과결과점수
20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19
23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16
Round 2 : 타겟체이스
2트랙0
타겟 순위[A]결과결과타겟 순위[A]
1[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4
1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7


2라운드 2경기에서 김은일 선수가 중간에 카트를 멈추는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4명 모두 AN-Gaming인 판타스틱을 올려주기 위해 AN게이밍 소속인 김은일이 승부조작이라는 의혹이 생기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2011년 카트라이더 리그 승부조작 논란에 기록되어 있다.


7.4. 8월 11일 결승전 Fantastic4 3 : 0 First[편집]



Round 1 : 데스매치
2트랙1
최하위[B]결과결과최하위[B]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조성제
박준혁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강진우
Round 2 : 콤보매치
2트랙1
점수결과결과점수
14[리버스]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3+6
18+10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9+10
15+10빌리지 만리장성12
Round 3 : 토탈포인트
60트랙48
합산점수점수합산
1010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1717
2414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1330
4420차이나 골목길 대질주737
6016아이스 부서진 빙산1148


8. 결과[편집]



우승FANTASTIC4
준우승First
4강Zowie
택환부스터
8강 3위다크호스
떠오르는 샛별
8강 4위4G+
Ares Spirit
팀스피릿상택환부스터

  • HOT 라이더와 비슷한 개념인 팀스피릿 상은 김택환의 팀인 택환부스터가 차지했다.


9.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11년 카트라이더 리그 승부조작 논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23:00:11에 나무위키 Nexon 카트라이더 팀스피릿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팀스피릿 개막 전에 정규리그와 별개로 진행되는 이벤트리그라고 공지하고 시작했다. 2012년에 계동균 팀장도 이벤트 리그라고 말했으며 팀스피릿 우승자인 박인재는 이후에 17차에서 우승하고 데뷔 이후 첫 우승컵을 들어올려서 마음이 벅차다고 했다. 공식리그로 변경되기 직전 리그인 듀얼레이스 1 개막전에서도 정준 해설위원은 팀스피릿은 이벤트리그라고 말했다.[2] 케스파 공인 리그와 공식 리그는 완전히 다르다. 케스파컵이랑 전국사이버체전도 공인리그였는데 현재 아무도 공식리그라고 하지 않는다. 1차부터 8차까지는 공인리그가 아니었기때문에 케스파컵이랑 사이버체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문호준,조현준,김대겸만 프로게이머 자격증을 얻었다. 자격증이 의미있던건 자격증을 따면 세금 30% 이상 감면 혜택을 주던 00년대까지이고 프로게이머 세금이 폐지된 10년대부터는 아무 의미가 없었다. 공식리그는 넥슨이 공식적으로 연 리그를 뜻한다. 시즌제로부터 버닝타임까지 공인리그가 아니었는데 공식리그로 인정받고 있다.[3] 1위 10pt, 2위 7pt, 3위 5pt, 4위 3pt, 5위 2pt, 6위 1pt, 7위 0pt, 8위 -1pt, 리타이어 -5pt[4] 한라운드에서 에이스한명을 여러경기에 둘 수가 없고 에이스가 둘다 리타리어시 1등으로 들어온 사람의 팀이 승리[5] 리타리어가 발생시 리타리어를 많이 당한 팀이 패배 양쪽이 같은 수의 리타리어을 당할경우 들어온 선수중에 최하위를 기록한 선수가 패배 참고로 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실력이 떨어지는 선수들을 주목시키기 위해 만들어 진것 같으니 실상을 에이스 선수들이 일부러 하위권으로 가면서 같은 팀원은 앞으로 보내고 상대 최하위 선수을 몸싸움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변질? 되었다. 물론 그러는 틈을 이용해서 올리타가 나오기도 했지만[6] 1-2위 10점, 2-3위 8점, 3-4위 6점, 4-5위 4점, 5-6위 2점, 6-7위와 7-8위는 점수 없음[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양팀 타겟 모두 리타이어시 1위 선수 [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양팀 모두 리타이어 발생 시 리타이어 한 팀원 수